1장 깨끗한 코드

깨끗한 코드

코드란, 요구사항을 표현하는 언어이다.

나쁜 코드는 다양한 상황에서 나오게된다.

  • 급해서?

  • 서두르느라?

  • 코드를 다듬느라 시간을 보냈다가 상사한테 욕 먹을까봐

  • 지겨워서 빨리 끝내려고

  • 다른 업무가 너무 밀려 후딱 해치우고 밀린 업무로 넘어가기위해

르블랑의 법칙 : 나중은 결코 오지 않는다.

나중에 리팩토링해야지. 나중에 고쳐야지 라는 생각은 하지말자

위에 나쁜코드가 나올수있는 다양한 상황들이 존재하지만 저자는 저러한 이유로 나쁜 코드를 합리화 하는것은 잘못됬다고 꼬집고있다.

그럼에도 항상 코드를 "최대한" 깨끗하게 유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깨끗한 코드란 무엇일까?

여러 유명한 프로그래머들의 의견을 빗대어 볼때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는것은 무엇일까?


코드는 목적이 뚜렷해야 한다.

너무 많은 일을 하려 애쓰거나 의도가 뒤섞이거나 목적이 흐려지면 안된다.

깨끗한 코드는 한가지만을 잘해야한다.

단순하고 직접적이며 명쾌한 추상화와 단순한 제어문으로 가득해야 한다.

읽기도 쉽고 고치기도 쉽다.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해야한다.

깨끗한 코드는 주의 깊게 작성한 코드다

중복 줄이기, 표현력 높이기, 초반부터 간단한 추상화 고려하기


코드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한꺼번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코드를 정리할 필요는 없다.

변수 이름을 개선하거나, 조금 긴 함수 하나를 분할하고, 약간의 중복을 제거하고, 복잡한 if문을 정리하는것 만으로 충분하다.

Last updated